2020년 10월 13일 화요일

친구를 응원하자!

 


1 WU ZEWEN https://qq971168320.blogspot.com/
2 간보미 https://dimatamgoo.blogspot.com/
3 권다예 https://eggmali.blogspot.com/ 
4 김도현 https://dologg.blogspot.com/
5 김보연 https://13hyunee.blogspot.com/
6 김슬가람 https://ggam7835.blogspot.com/ 
7 김시현 https://ksh201810431.blogspot.com/
8 김예찬 https://chan970.blogspot.com/
9 김지민 https://jmblog201710702.blogspot.com/
10 김현성 https://accompany114.blogspot.com
11 김혜선 https://gptjs6632.blogspot.com/
12 김효강 https://JKSTUDIO1998.blogspot.com
13 나지윤 https://cafe9943love.blogspot.com
14 박수연 https://syeet527.blogspot.com
15 박원희 https://onee12.blogspot.com
16 박진주 https://wlsjoo010.blogspot.com/
17 손예진 https://yejinblog13250.blogspot.com
18 염준영 https://yourdoglovesu.blogspot.com/
19 유승연 https://yjyww17.blogspot.com/
20 윤성재 https://heartogether123.blogspot.com/
21 이수연 https://sujina-su.blogspot.com/
22 이승연 https://blog-3202.blogspot.com/
23 이은지 https://bbuble-1616.blogspot.com/
24 이재성 https://tangible-947216.blogspot.com/
25 이재형 https://review123456789.blogspot.com/
26 장현수 https://blog9115391.blogspot.com/
27 최성규 https://sk12345678910.blogspot.com
28 한준 https://blogblog1472.blogspot.com
29 황인아 https://ina021602.blogspot.com/
30 황재준 https://food2rest92919729.blogspot.com/
31 최광돈 https://boram1004.blogspot.com/

2020년 10월 6일 화요일

MPS와 BOM과 MRP 이해 - 더존 핵심ERP 시스템 기능

 



MRP에는

주생산계획(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자재명세서(BOM; Bill of Material),

재고기록철(Inventory Record File) 등의 3가지 주요 투입요소가 반드시 필요

 



MRP 시스템에 필요한 3종류 자료

 

1. 주생산일정계획(MPS : Master Production Schedule)

 

1) 주일정계획 또는 대일정계획이라고도 하며, 총괄생산계획을 수립한 후에 이를 기준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각 제품에 대한 생산시기와 수량을 나타내기 위해 수립하는 생산계획

2) 총괄생산계획은 수요예측과 생산능력을 고려하여 중장기적으로 제품군에 대한 종합적인 생산 계획을 수립한 것이므로  결정된 총괄적 단위는 실제 생산되어야 할 제품단위로 변환.

3) 주일정계획은 총괄생산계획을 실제 생산할 제품단위로 일정을 분해한 결과.

4) MPS는 적정재고수준 유지, 생산준비시간 단축,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서 완제품의 납기와 부품의  조달기간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일정을 효과적으로 수립

 

2. 자재명세서(BOM : Bill of Material)

 

1) 완제품 1단위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 부품, 반제품 등의 품목, 규격, 소요량 등에 대한  명세서

2) 기본 정보 : '제품구조정보(Product Structure)‘

3) 이산적(discrete) 부품들로 구성된 제품의 구조를 나타내며 Product Structure, Bill of Material,  Part List 등으로 불림

4) 자재소요량을 계산하는 방식

수준 0은 완성품, 그 아래로 차례로 수준 1, 2... 등으로 구분하여 모품목에 대한 자품목의 구성관  계를 나타냄. 각 수준의 품목 옆의 ( )는 상위품목(모 품목) 1단위 제조에 필요한 당해 자품목의  소요 수량 표기

 

3. 재고기록철(Inventory Record File)

1) 자재관리 대상품목의 입출고에 관한 내역, 재고보유 품목, 발주품목, 생산품목에 관한 사항을 기록

2) 재고기록은 생산예정 품목의 순소요량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므로 품목의 재고에 대한 최신 정보를 유지하여야 하며, 입출고 및 반품 등에 관한 사항을 모두 기록

3) 리드타임(lead time), 로트크기 (lot size), 안전재고 및 기타 특별한 사항에 대한 정보도 포함

 

   리드타임 

• 어떤 과정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 생산리드타임과 구매리드타임으로 구분

• 생산이나 구매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납기단축, 원가절감, 생산 및 구매 효율성 증대 등의 효과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 향상

 

생산리드타임

•생산지시부터 생산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

•생산지시를 위한 서류작업시간 및 승인시간, 작업지시서 및 도면준비시간, 작업대기, 준비, 교체시간, 각종 치공구 설치시간, 생산소요시간 등  포함.

 

구매리드타임

•공급업체에 구매발주서를 전달한 후, 해당 품목의 입고까지 소요되는 시간

•발주서류작성과  발주승인시간, 공급업체의 내부작업시간, 운송시간, 입고대기시간 등 포함.

 

 

   4. MRP 전개절차

① MPS를 기준으로 한 제품생산 일정과 생산량 파악

② 자재명세서(BOM)를 이용한 제품구조 파악

③ 재고기록철을 이용한 품목별 재고현황과 조달기간 파악

④ MRP계획표 작성

    ① 총소요량 (GR : Gross Requirement) 결정

    ② 현재고량 (OH : On Hand) 확인

    ③ 입고예정재고 (Scheduled Receipts) 확인

    ④ 할당된 재고

    ⑤ 안전재고

    ⑥ 순소요량 결정

       ■순 소요량 = 총 소요량 - 현재고 - 입고예정재고 + 할당된 재고 + 안전재고

         -총 소요량 : 주생산일정에서 계획된 제품의 생산일자와 생산량을 파악한다.

         -현재고 : 현시점의 창고재고 수량

         -입고예정재고 : 과거에 이미 발주되어 향후 입고예정인 품목의 수량

         -할당된 재고 (Allocation) : 현재고로 포함되어 있으나 먼저 생산 계획된 제품에 투입되기로  확정된 품목의 수량

         -안전재고 (Safety Stock) : 불확실한 수요에 대비하여 품목별로 항상 보유하는 재고수량

 




순소요량 계산

    ⑦ 발주계획 (PO : Planned Order releases) 결정

       - 발주계획 : 품목별로 발주일자와 발주량을 결정한다.

 



MRP 구조

 



핵심ERP시스템 - 구매/자재관리 전체 프로세스 흐름도

 

설명 동영상


MPS와BOM과 MRP이해




ERP시스템의 정의

 문헌에 나와있는 전사적 자원계획(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이하에서는 ERP라 칭함)의 목표와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Keller[1994]는 ERP의 최종목표는 기업의 자원인 인력(Man), 자본(Money), 자재(Material), 기계(Machine)라는 4대 자원(4M)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데 있다고 하며, 박영웅[1997]은 ERP란 각종 경영자원을 하나의 통합적인 체계로 재구축 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대외 경쟁력을 높이려는 대표적인 기업 리엔지니어링을 추구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기법이라고 정의하였다. 윤재봉[1999]은 “ERP는 기업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생산, 판매, 물류, 회계, 인사 등의 기업의 기간업무를 조직 횡단적으로 파악하고, 전사적으로 경영자원의 활용을 최적화하는 계획과 관리를 위한 경영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ERP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의 컨설팅회사인 가트너 그룹은 “ERP란 기업내의 업무기능들이 조화롭게 발휘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응용시스템들로 구성된 차세대의 업무시스템”으로 1994년 보고서에서는 정의하였으나, 1995년 보고서에서는 보다 구체화하여 “ERP란 제조, 회계, 물류 및 다른 업무 기능들을 조화롭게 해 주는 응용시스템 소프트웨어들의 집합”으로 재정의 하였다.

 

  미국의 생산관리학회는 “ERP는 최신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수주에서 출하까지의 공급체계와 관리회계, 재무회계, 인사관리를 포함한 기업의 업무를 지원하는 종합정보 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ERP개념 속에는 과거의 MRP, MRP II의 개념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트너 그룹이나 미국 생산관리학회가 ERP를 정의하였듯이 기업의 전반적 경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관점에서 구매, 생산, 물류, 회계 등의 업무기능 전체의 최적화를 도모하면서 경영의 효율화를 추구하는 개념은 광의의 ERP의미로 볼 수 있다. 

 

  따라서 “ERP는 기업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생산, 판매, 물류, 회계, 인사 등의 기업의 기간업무를 조직 횡단적으로 파악하고, 전사적으로 경영자원의 활용을 최적화하는 계획과 관리를 위한 경영개념”이며,

  “ERP시스템은 ERP 개념을 기업의 경영에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으로 기업의 업무운영 중추가 되는 기간업무를 위한 새로운 정보시스템”이다. 

 

  ERP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은 자체 개발방법과 패키지 도입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ERP시스템의 등장배경

 

ERP시스템은 1970년대의 자재소요량계획(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MRP)와 1980년대의 재조자원계획(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MRP II), 생산관리 분야의 JIT(Just in Time), TQM(Total Quality Management), 경영 분야의 경영정보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IS), 임원정보시스템(Executive Information System: EIS) 등에서 발전하였다.

 

  1970년대에 시작된 MRP는 제품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 즉, 원자재, 중간모듈, 완제품 등에 대한 자재수급계획과 생산관리를 통합시킨 최초의 체계적인 제조정보 관리기술로 어떤 물건(원자재나 가공품, 반제품 등)이 언제, 어느 곳에서 필요한지를 예측해주어 기업 자원의 비능률적인 활용이나 낭비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 그러나 초기의 MRP 시스템은 확고한 개념의 미정립,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부족, 데이터 베이스 기술의 미흡 등으로 시스템을 구축시키기에는 여러 가지로 부족한 점이 많았다.

 

  MRP보다 한 단계 발전된 형태인 MRP II는 MRP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수주관리, 판매관리, 재무관리 등 기업경영에 필요한 새로운 기능을 포함하여 실현 가능한 생산계획을 제시함으로써 제조활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MRP II 시스템은 스케쥴링 알고리즘과 시뮬레이션 등 생산활동을 분석하는 도구가 추가되면서 더욱 지능적인 생산관리 도구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의 고객지향 체제로 전환되는 1990년대 들어 기업은 올바른 의사결정을 위해 고객사, 협력회사 등 상하위 공급 체계와 설계, 영업, 원가회계 등 회사 내 연관부서의 업무를 동시에 고려하여야만 했다. 이와 함께 시장환경이 글로벌화함에 따라 생산 및 물류의 거점이 국내외 여러 곳에 산재하게 되고 국제경쟁력 강화차원에서 전사 최적의 자원관리 및 제품공급, 자재수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발생한 것이 ERP시스템이다.

 

  ERP시스템이란 개념을 처음 도입한 가트너 그룹은 1991년에 ERP시스템이 갖는 정보기술 요건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구조적 질의어(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제4세대 언어,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복수 데이터베이스 지원, 객체지향 시스템 등의 7가지를 제시했다. 

 

  그후 ERP시스템은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DW), 통합고객관리, 공급망관리, 기업간 전자상거래와 최고경영자들이 기업의 경영정보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주주 또는 투자자들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통합 분석용 애플리케이션인 기업전략관리(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SEM) 등의 새로운 영역으로 범위를 넓혀 ‘확장된 ERP시스템’으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4차산업 혁명 기술의 총아라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보다 고도화된 ERP시스템으로 진화되고 있다.

친구를 응원하자!

  1 WU ZEWEN https://qq971168320.blogspot.com/ 2 간보미 https://dimatamgoo.blogspot.com/ 3 권다예 https://eggmali.blogspot.com/  4 ...